티스토리 뷰
원천동 이석증 증상과 생활 속 치료 대처법
비교적 가벼운 어지러운 증상이라 하더라도 자주 반복되면 일상 생활에 영향을 주줄 뿐만 아니라 컨디션으로 인한 단순한 증상이 아닐 수 있습니다. 어지럼증은 다양한 원인으로 발생합니다. 원인이 매우 다양하기 때문에 단순한 증상으로 여기지 않아야 하고 명확하게 원인을 확인하고 적절한 치료 방향을 찾도록 해야합니다. 어지럼증을 유발하는 이유 중 대표적인 질환 중에는 ‘이석증’이 있습니다.
원천동 이석증 증상은 양성 돌발성 현훈이라고 합니다. 귀 안쪽에 위치하고 있는 전정기관 내에 ‘이석’이 원래의 자리를 이탈하게 되는 현상입니다. 이석은 균형 감각을 담당하는 미세한 칼슘 경정체입니다. 평소에는 세반고리관과 연결된 특정 부위에 위치하고 있는 것이 정상입니다. 그러나 여러 가지 원인으로 이석이 제자리에서 이탈하여 세반고리관을 떠돌아 실제 움직임이 없더라도 뇌가 회전을 감지하는 듯이 착각하게 됩니다. 그러면서 빙글빙글 도는 것처럼 심한 현기증이 발생하고, 이러한 증상으로 생활의 질이 저하되게 됩니다. 특히 자세를 바꿀 때 증상이 심해지며, 멀미와 혼동할 수 있습니다.
이석증 증상은 특히 아침에 침대에서 일어날 때, 누워 있다가 자세를 바꿀 때, 고개를 위로 젖힐 때 갑자기 어지러워 지는 등 특정 상황에서 어지럼증을 호소하게 됩니다. 이때 느껴지는 어지럼증은 일반적으로 1-2분 이내로 짧게 지속되나, 극심한 회전감으로 인하여 멀미 혹은 구토 증상을 동반하기도 합니다.
하지만 머리를 움직이지 않고 가만히 있으면 증상이 사라집니다. 게다가 본인의 인지와 상관없이 눈동자가 한쪽 방향으로 빠르게 움직이는 ‘안진증상’이 나타납니다. 이러한 증상은 전정기관의 불균형으로 유발되는 안구 운동으로 이석증을 진단할 수 있는 중요한 부분입니다. 급성 어지럼증은 가라앉더라도 머리가 무겁고 균형감이 저하되는 등의 후유증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증상이 나타나면 신속하게 대처가 이루어져야 합니다.
그렇다면 원천동 이석증 증상이 나타나는 원인은 무엇일까요? 이석증 발병 원인은 아직까지는 명확하게 밝혀지지는 않았으나 현재까지 연구에 의하면 혈액순환 장애 또는 신경계 기능 이상과 관련되어 있습니다. 특히 40~50대 이후의 연령층에서 자주 발생하게 되고, 나이가 들수록 이석을 구성하는 칼슘 결정과 젤라틴 조직이 약해져 발생하게 됩니다.
그리고 격렬한 운동, 교통사고, 낙상 등 머리에 충격이 생겼을 때 이석이 정상 위치에서 이탈하며 증상이 나타납니다. 또한 내이의 혈류가 원활하지 않고, 목 근육이 긴장되는 등 경추의 구조적 문제로 전정기관으로 가는 혈액 공급이 차단되어 이석이 제자리에서 빠져나올 수도 있습니다. 게다가 수면부족, 스트레스, 자율신경계의 불균형 등의 요소로 이석즈이 발병하기도 합니다.
이석증은 일반적으로 약2주 정도의 시간이 지나면 자연적으로 녹아 없어지기도 합니다. 따라서 초기의 극심한 어지럼증도 점차 완화됩니다. 그러나 자연 치유가 되지 않고 남아있는 잔여 이석으로 인해서 어지럼증이 지속되거나 균형감 저하, 재발 가능성이 남을 수 있으므로 바른 치료가 필요합니다. 이석증은 1년 이내에 약 20%가 재발할 수 있다고 하며, 그만큼 반복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따라서 재발을 방지하기 위한 진단과 치료가 이루어져야 합니다.
이석증은 단순히 어지럼증만으로는 진단하기엔 원인이 다양하고 복잡할 수 있습니다. 귀의 이상 외에도 신경계 기능, 혈류 흐름, 전신상태 등 다양한 원인으로 어지럼증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정확한 원인을 파악하도록 해야합니다. 원인이 바로 확인되지 않으면 증상이 반복되고 만성화될 위험이 커질 수 있습니다. 초기의 경우 경미한 증상으로 느껴질 수 있으나, 방치한다면 낙상 사고나 지속적인 어지럼증으로 일상에 큰 불편을 줄 수 있습니다. 증상이 반복되거나 장시간 지속되면 원인을 명확하게 진단해야 하고, 체계적으로 치료받도록 해야합니다. 자연스럽게 호전되기를 기다리기 보다는 의료진의 도움을 받아서 안정적인 회복 경로를 찾도록 해야합니다.